본문 바로가기
텃밭 가꾸기

라일락 심는시기 및 삽목시기 알아보기

by 썬라이징 2023. 6. 9.
반응형

라일락 심는시기 및 삽목시기 알아보기

 

 

라일락이라는 꽃 아시나요? 보라색 꽃잎이 매력적인 이 꽃이죠

제가 좋아하는 꽃이기도 한데요, 꽃말은 젊은 날의 추억이랍니다. 저는 아직 젊어서 그런지(?) 젊은 날의 추억보다는 지금 현재의 소중함을 느끼는 편이지만 가끔은 지나간 시간들이 그립기도 해요.

그래서 이렇게 예쁜 꽃들을 보고 있으면 괜히 기분이 좋아지기도 하구요.

봄 하면 떠오르는 꽃들이 있죠? 개나리, 진달래, 벚꽃 등등.. 하지만 봄하면 빠질 수 없는 꽃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라일락입니다. 향이 너무 좋아서 향수로도 많이 출시되는 등 많은 사랑을 받고있는 꽃이에요.

라일락은 봄을 대표하는 꽃으로 그 향기와 색감으로 봄을 알리는 꽃이예요.

라일락은 실내에서도 키울 수 있지만 실외에서 키울 경우 더욱 더 화려한 꽃을 볼 수 있어요.

라일락을 실외에서 키우기 위해서는 삽목을 해야하는데요, 라일락 삽목시기와 심는 시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라일락 삽목시기

 

라일락 삽목시기는 봄이 시작되는 3월부터 5월까지입니다. 4월 중순경이 가장 적합한 시기라고 볼 수 있어요. 그 이유는 라일락은 5월 말부터 꽃이 지기 시작하기 때문에 삽목시기가 늦어지면 꽃이 덜 피어나거나 꽃이 짧게 지는 경우가 많아요. 따라서 라일락을 키우기 위해서는 4월 중순경에 삽목을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라일락 삽목시 어떤 준비가 필요한가요?

라일락 삽목을 하기 위해서는 라일락 가지와 그 가지를 심을 토양이 필요합니다. 라일락 가지는 굵기가 1~2cm정도 되는 가지를 선택하고, 그 가지를 15~20cm정도의 길이로 잘라줍니다.

그리고 가지의 끝부분은 45도 각도로 잘라줍니다. 그 다음으로는 토양을 준비해야하는데요, 라일락은 토양이 좋아야지만 잘 자라기 때문에 유기물이 많은 토양을 선택해야합니다.

또한 토양은 수분이 잘 흡수되는 토양을 선택해야합니다.

 

라일락 삽목 방법

 

라일락 삽목 방법은 간단합니다. 준비한 라일락 가지의 끝부분을 45도 각도로 잘라준 후, 가지의 밑부분에 45도 각도로 베어진 부분을 다시 45도 각도로 베어줍니다. 그리고 준비한 토양에 가지를 꽂아줍니다. 가지를 꽂을 때는 가지의 밑부분을 토양에 깊이 묻어줍니다.

그리고 가지를 꽂은 후 토양을 덮어준 후, 물을 적당히 주어줍니다. 그리고 삽목한 라일락은 그늘진 곳에 보관해줍니다. 이렇게 하면 2~3주 정도 후에 뿌리가 자라서 새로운 라일락이 탄생합니다.

라일락 삽목시기는 봄이 시작되는 3월부터 6말 월까지입니다. 가끔 장마시기에 해도 삽목에 성공할수 있고 라일락 삽목을 하기 위해서는 라일락 가지와 그 가지를 심을 토양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라일락 삽목 방법은 간단합니다.

라일락 가지를 잘라 물에 담구어 뿌리를 내리던지 흙에 바로 꽂아 삽목 하는 방법이 있으니 참고 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이렇게 하면 라일락을 쉽게 키울 수 있습니다.

 

 

라일락꽃 이름 유래는요?

 

라일락이라는 이름은 아라비아어인 ́lilāqah ́에서 나온 말로 ́릴라화 ́라고도 불립니다.

이 단어는 페르시아어인 ́lilākha ́에서 나왔는데, 이것은 희랍어인 ́lyla ́(즐거움) 또는 likra ́(사랑스러움)에서 파생되었습니다. 영어로는 lilac이라 하는데, 그리스 신화에서는 미소년 나르키소스가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사랑에 빠져 결국 죽음에 이르렀는데, 이때 흘린 피에서 생겨난 꽃이 바로 라일락입니다. 꽃말은 젊은 날의 추억이며, 영국에서는 결혼식날 신부가 머리에 꽂는 꽃이기도 합니다.

 

라일락꽃 개화시기

 

4월~5월 사이에 피는 대표적인 봄꽃이에요. 하지만 지역별로 차이가 있어서 제주도는 4월 1일, 남부지방은 4월 5일 ~ 14일, 중부지방은 4월 13일 ~ 21일, 경기북부와 강원북부 및 산간지방은 4월 22일 이후에 개화한다고 하네요.

라일락꽃 특징은요?

연보라색 꽃잎 안쪽에 흰색 줄무늬가 있고,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길이 3∼7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윤이 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고 알려져있어요.

우리나라 자생종으로는 수수꽃다리, 개회나무, 정향나무, 털개회나무, 섬개회나무, 흰털개회나무 등이 있답니다. 라일락의 아름다운 꽃을 감상하며 봄을 즐겨보세요!

반응형